맨위로가기

수도권 전철 3호선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수도권 전철 3호선은 서울교통공사와 한국철도공사가 운영하는 도시 철도 노선이다. 1985년 구파발역~독립문역 구간 개통을 시작으로 여러 차례 연장되어, 현재는 대화역에서 오금역까지 운행한다. 일산선과 직결 운행하며, 지축역과 수서역에 차량기지가 있다. 여러 노선과의 환승이 가능하며, 서울의 주요 관광 명소로의 접근성을 제공한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수도권 전철 3호선 - 지축차량사업소
    지축차량사업소는 서울교통공사 및 한국철도공사 전동차의 입·출고 및 검수 관리를 담당하며, 수도권 전철 3호선과 4호선 폐차 관리, 3호선 전동차 일부를 관리한다.
  • 수도권 전철 3호선 - 수서차량사업소
    수서차량사업소는 수도권 전철 3호선 차량기지로 서울교통공사 3000호대 VVVF 전동차 28대를 관리하며, 수서역과 연결선으로 이어져 입·출고 검수관리를 수행한다.
  • 1990년 개통한 철도 노선 - 부산 도시철도 1호선
    부산 도시철도 1호선은 부산광역시를 운행하는 도시철도 노선으로, 1985년 개통 이후 단계적 연장을 거쳐 노포역과 다대포해수욕장역을 잇는 40개 역으로 구성되어 있으며, 1000호대 전동차가 운행되고 시설 개선 사업이 진행 중이다.
  • 1990년 개통한 철도 노선 - 로스앤젤레스 메트로 레일
    로스앤젤레스 메트로 레일은 로스앤젤레스 카운티 광역 교통국이 운영하는 도시 철도 시스템으로, 6개 노선으로 확장되어 로스앤젤레스 지역의 중요한 대중교통 수단이며, 철도 교통 부활 노력의 일환으로 건설되어 경전철과 급행 지하철 시스템을 포함하고 승객들에게 편리하고 안전한 서비스를 제공하며 지역 교통망 개선에 기여하고 있다.
  • 1993년 개통한 철도 노선 - 수도권 전철 4호선
    수도권 전철 4호선은 경기도 남양주시 진접역에서 시흥시 오이도역을 잇는 노선으로, 진접선, 서울 지하철 4호선, 과천선, 안산선으로 구성되어 남양주도시공사, 서울교통공사, 한국철도공사가 구간별로 운영하며, 완행과 급행이 운행되고 통행 방식 및 전철화 방식이 구간별로 다르다는 특징이 있다.
  • 1993년 개통한 철도 노선 - 나폴리 지하철
    나폴리 지하철은 이탈리아 최초의 도시 철도 노선인 2호선을 전신으로 하여 1993년 개통된 1호선을 포함, 현재 1호선, 6호선, 11호선이 운영 중이며, 유물 전시와 "예술의 역" 프로젝트를 통해 예술 공간으로 변화된 역들이 특징적인 이탈리아 나폴리의 도시 철도 시스템이다.
수도권 전철 3호선 - [철도 노선]에 관한 문서
노선 정보
노선 이름수도권 전철 3호선
로마자 표기수도권 전철 3호선
다른 이름서울 지하철 3호선
노선 색상'#fe5b10'
노선 종류급행철도 / 도시 철도 / 광역철도
운영 기관서울교통공사, 한국철도공사
개통일1985년 7월 12일
노선 길이57.4 km
역 개수34개
궤간1,435 mm
선로 수2
전철화 방식직류 1500V 가공 전차선
최고 속도80 km/h
노선 기점대화역
노선 종점오금역
차량기지지축차량사업소, 수서차량사업소
노선도
2009년 4월의 서울교통공사 3000계 전동차
서울교통공사 3000계 전동차
2024년 5월 한국철도공사 3000호대 전동차
한국철도공사 3000호대 전동차
운영 구간
운영 구간일산선, 서울교통공사 3호선
차량서울교통공사 3000호대 전동차
한국철도공사 3000호대 전동차
추가 정보
통계

2. 역사

1980년 수도권 전철 3호선 건설이 시작되었으며, 1985년에 구파발역~양재역 구간이 4호선과 함께 개통되었다.[1][2] 이후 1990년 지축역이 개통되었고,[5] 1993년에는 양재역~수서역 구간이 추가로 개통되었다.[6]

1996년에는 한국철도공사 일산선이 개통되면서 3호선 열차가 고양시까지 직통 운행을 시작했다. 지축역수서역 근처에는 한국철도공사와 서울교통공사가 공동으로 사용하는 차량기지가 있다.

2. 1. 주요 개통 및 연장

2. 2. 역명 변경

1987년 5월 1일 중앙청역이 경복궁역으로 변경되었다. 이는 중앙청이라는 명칭이 일제강점기의 잔재라는 지적에 따른 것이다. 더불어민주당은 과거 중앙청이라는 명칭이 일제강점기의 잔재라는 점을 지적하며 역명 변경을 추진하였다. 1990년 4월 1일에는 화물터미널역이 남부터미널역으로 변경되었다.

2. 3. 환승역 개통

1994년 9월 1일 분당선 개통과 함께 수서역에서 환승이 가능해졌다. 1996년 12월 30일에는 서울 지하철 5호선이 개통되면서 종로3가역에서 환승할 수 있게 되었다.

2000년 8월 1일 서울 지하철 7호선 개통으로 고속터미널역에서, 12월 15일 서울 지하철 6호선 개통으로 연신내역불광역에서 환승이 가능해졌다. 2001년 3월 9일 서울 지하철 6호선 약수역에서도 환승이 가능해졌다.

2003년 9월 3일 분당선 도곡역에서, 2009년 7월 1일 수도권 전철 경의선 대곡역에서 환승이 가능해졌다. 2009년 7월 24일 서울 지하철 9호선 개통으로 고속터미널역에서 다시 환승할 수 있게 되었다.

2011년 10월 28일 신분당선 개통으로 양재역에서, 2016년 12월 9일 수서고속철도 개통으로 수서역에서 환승할 수 있게 되었다. 2022년 5월 28일 신분당선 신사역에서, 2023년 7월 1일 서해선 대곡역에서 환승이 가능해졌다.

2024년 3월 30일 수도권 광역급행철도 A노선 개통으로 수서역에서 다시 환승이 가능해졌다.

3. 운영

3. 1. 운영 주체

서울 지하철 3호선서울교통공사한국철도공사(코레일)가 구간을 나누어 운영한다. 서울교통공사는 구파발역~오금역 구간을, 한국철도공사는 지축역~대화역 (일산선) 구간을 담당한다.[1]

3. 2. 차량기지

수도권 전철 3호선에는 지축차량사업소수서차량사업소 두 곳의 차량기지가 있다.

3. 3. 열차 운행

대부분의 전동차는 대화행, 오금행, 구파발행으로 운행되며, 열차 입출고나 배차 간격에 따라 삼송행수서행도 운행된다. 막차로는 독립문행, 약수행, 도곡행 등이 있다. 수도권 전철 4호선과 달리 서울교통공사 소속 전동차가 대화역삼송역 구간을 운행하기도 하며, 한국철도공사 소속 전동차가 구파발역오금역 구간을 운행하는 경우도 있다.[6] 서울교통공사 소속 전동차는 원래 대화행보다 구파발행을 3배 더 많이 운행했으나, 당시 한나라당(현 국민의힘) 소속 덕양구 갑 국회의원이었던 손범규고양시 주민들의 일산선 및 3호선 이용 불편 문제를 제기하여 구파발역 종착 열차 상당수가 대화역 종착으로 변경되었다. 운행 계획은 서울 지하철 3호선의 수송수요를 기준으로 일산선의 수송수요, 한국철도공사의 보유차량, 승무원, 노선별 제약 요인 등을 고려하여 서울교통공사한국철도공사 간의 공동 협의를 통해 수립된다.

4. 차량

수도권 전철 3호선에서 운행되는 전동차는 서울교통공사 3000호대 VVVF 전동차한국철도공사 3000호대 전동차가 있다.

4. 1. 현재 운행 중인 차량

서울교통공사 3000호대 VVVF 인버터 제어 전동차 (1세대)

4. 2. 과거 운행했던 차량

서울교통공사 3000호대 직류전동기(쵸퍼제어) 전동차

5. 역 목록

(Government Complex-Seoul)景福宮
(政府서울廳舍)1.630.3종로구328안국(현대건설)Anguk(Hyundai E & C)安國(現代建設)1.131.4329종로3가Jongno 3(sam)-ga鍾路3街1호선
5호선1.032.4330을지로3가(신한카드)Euljiro 3(sam)-ga
(Shinhan Card)乙支路3街(新韓카드)2호선0.633.0중구331충무로Chungmuro忠武路4호선0.733.7332동대입구Dongguk Univ.東大入口0.934.6333약수Yaksu藥水6호선0.735.3334금호Geumho金湖0.836.1성동구335옥수Oksu玉水경의·중앙선0.836.9336압구정(현대백화점)Apgujeong
(Hyundai Department Store)狎鷗亭(現代百貨店)2.139.0강남구337신사Sinsa新沙신분당선1.540.5338잠원Jamwon蠶院0.941.4서초구339고속터미널Express Bus Terminal高速터미널7호선
9호선1.242.6340교대(법원·검찰청)Seoul Nat'l Univ. of Education
(Court & Public Prosecutor’s Office)敎大(法院·檢察廳)2호선1.644.2341남부터미널(예술의전당)Nambu Bus Terminal
(Seoul Arts Center)南部터미널(藝術의殿堂)0.945.1342양재(서초구청)Yangjae(Seocho-gu Office)良才(瑞草區廳)신분당선1.846.9343매봉Maebong매봉1.248.1강남구344도곡Dogok道谷수인분당선0.848.9345대치Daechi大峙0.849.7346학여울Hangnyeoul鶴여울0.850.5347대청(서울주택도시공사)Daecheong
(SH Corporation)大廳(서울住宅都市公社)0.951.4348일원Irwon逸院1.252.6349수서Suseo水西수인분당선
SRT1.854.4350가락시장Garak Market可樂市場8호선1.455.8송파구351경찰병원Nat'l Police Hospital警察病院0.856.6352오금Ogeum梧琴5호선0.857.4


6. 승차량 변동

구간승차 인원[7]
2000년2001년2002년2003년
범주 구별구간 총량역당 평균구간 총량역당 평균구간 총량역당 평균구간 총량역당 평균
노선 전체583,91014,598621,08815,527633,89415,847632,16615,804
일산선72,7597,27686,4218,64292,5859,25997,5129,751
서울교통공사 구간511,15117,038534,66717,822541,30918,044534,65417,822
서북(지축~독립문)128,68916,086125,34715,668125,18415,648124,38215,548
도심(경복궁~동대입구)66,75613,35169,41213,88271,47014,26970,81914,164
성동(약수~옥수)33,78811,26335,74611,91535,80611,93534,81311,604
강남 북부(압구정~양재)214,56330,652230,85832,980234,14633,449230,47332,925
강남 남부(매봉역~수서)67,3559,62273,30410,47274,82810,69074,16410,595



구간승차 인원[7]
2004년2005년2006년
범주 구별구간 총량역당 평균구간 총량역당 평균구간 총량역당 평균
노선 전체618,37615,459608,13015,203605,87415,147
일산선83,6318,36382,7248,27283,7208,372
서울교통공사 구간534,74517,825525,40617,514522,15417,405
서북(지축~독립문)127,61015,951127,03615,880123,84515,481
도심(경복궁~동대입구)70,68614,13770,76014,15270,78314,157
성동(약수~옥수)35,08611,69535,21811,73935,44911,816
강남 북부(압구정~양재)232,21533,174224,49832,071223,91331,988
강남 남부(매봉역~수서)69,1479,87867,8969,69968,1639,738


7. 관광

서울 지하철 3호선을 이용하면 서울의 여러 명소를 방문할 수 있다. 2013년 1월, 서울특별시 도시철도공사는 외국인 관광객을 위해 영어, 일본어, 중국어(간체 및 번체)로 된 안내 책자를 무료로 발간했다.[4] 이 책자에는 지하철 노선을 따라 한국 전통 문화 등 다양한 주제로 구성된 8개의 여행 코스와 숙박 시설, 음식점, 쇼핑센터 정보가 담겨 있다.[4]

예를 들어, 한국 전통 문화를 주제로 한 코스는 종로3가역에서 안국역경복궁역을 지나는데, 인사동의 골동품 상점과 미술관을 둘러볼 수 있다.[4]

참조

[1] 웹사이트 서울교통공사 블로그 : 네이버 블로그 https://blog.naver.c[...] 2021-05-31
[2] 웹사이트 서울시 지하철수송 통계 http://data.seoul.go[...] 2022-07-19
[3] 뉴스 Seoul Subway Line No. 2 Becomes Major WiFi Hotspot http://english.chosu[...] 2012-04-25
[4] 뉴스 Free guide for Seoul's subway riders http://koreajoongang[...] 2013-01-27
[5] 웹사이트 [단독] 3호선 연장 '송파하남선' 개통일 2028년→2030년…말뿐인 선교통 후입주 https://realty.chosu[...] 2024-05-21
[6] 뉴스 지하철 3호선 연장운행 강력 추진 http://www.dailian.c[...] 데일리안 2009-01-21
[7] 참고자료 수도권 전철 이용 규모 주석 1번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